광교자연유치원(해들유치원)Gwanggyo Natural Kindergarten
유치원 부지는 막다른 도로와 북측에 그리 높지 않는 근린공원에 접해 있으며, 부지 바닥면이 도로면보다 약 2.5m정도 높은 레벨 위치에 있고, 북쪽이 좁고 남쪽이 넓은 대지의 형상이라 배치에 어려움이 있었다. 건물의 매스는 중정을 둔 형태로 공용공간과 동선으로 활용되는 면적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자 했다. 성격이 다른 3곳의 마당을 둔 외부공간은 북측의 동산이 외부마당으로 자연스럽게 연결되고 내부 중정은 생태연못과 마당, 교실 내부까지 빛을 유입할 수 있는 역할을 하고, 남측의 외부공간은 야외수업 및 수영장을 두어 특별활동을 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북측 마당으로 진입하면 1층 메인홀과 중정이 연결되어 있다. 복도는 중정을 끼고 +0.9M레벨차의 경사램프 복도가 3층레벨까지 연속적으로 이어져 있다. 중정을 중심으로 나선형 복도에 면하여 교실과 강당이 있고 교실과 교실 사이 공용공간에는 아틀리에와 도서실, 화장실 등이 있다. 건물의 북측과 서측면은 콘크리트 노출마감이고 남측과 동측면은 전체 커튼월 유리마감으로 되어 있다. 실내공간은 개방성을 확보하여 상호 관찰되고 소통되도록 내부 벽체는 유리를 많이 사용하여 공용공간의 화장실, 아틀리에, 도서실은 물리적인 구획 없이 오픈 되게 했다. 1층에서부터 3층까지 층의 구분 없이 나선형으로 연속되어 있어 각 레벨에 따른 인지성 확보를 위해 바닥 및 벽체에 색채를 다양하게 사용했다. 해들유치원은 아이들이 처음으로 경험하게 되는 사회적 활동 장소로서, 아이들이 생활하고 성장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이 있기를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