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신청사는 이러한 문화적?지형적 맥락 속에 녹아있는 미래의 건축이 되고자 한다. 신청사의 설계는 서울 광장으로부터 시작된다. 서울광장은 상징성이 풍부한 서울 도심 공간의 중심이자 유일하게 남아있는 옥외 공용 공간이다. 설계의 시작은 이 중심공간인 서울광장을 수직으로 연장한다는 생각이다. 그 연장된 수직 광장 후면에 서울시의 업무공간을 배열하고, 수직광장의 최상부에는 시민들에게 개방되는 문화시설을 공중에 띄워서 마감한다. 이 문화공간에 이르는 과정은 여러 레벨의 공중 테라스(hanging terrace)로 연결되기도 한다. 이 수직광장과 문화시설, 공중 테라스는 바람이 자연적으로 소통되도록 고안된 숨쉬는 커튼월(breathing curtain wall)로 둘러싸인다. 이 커튼월로 둘러싸여 공중테라스가 있는 공간은 생태광장으로서 조경이 된 벽면과 지속가능한 환경장치를 갖추고 있다. 사무공간의 전면의 수직 공간을 통해 시 행정은 시민에게 개방되며, 서울시청의 투명성과 민주성을 표상하기도 한다. 시민들은 서울 광장으로부터 기존의 시청사를 지나 지하 1층으로 열려 있는 선큰 광장 위 브리지를 건너서 신청사로 진입하게 된다. 서울시 신청사는 서울 광장의 장소성을 과거와 미래로 연결시킴으로써 완성될 것이다.
In our opinion, The Seoul New City Hall has to be a future shape architecture which goes with the Korea terrain that adapts to the Seoul citizens’ cultural emotion. The familiar horizontal line of architecture and deep shade of roof is suitable form for Korean terrain and climate. The Spatial relationship between architecture and urban structure of Seoul is very different from the western one. The Korean living space has no axis or facade which can be seen from the entry, because it consists of mountains and valleys. The Korean think experience of space is more important than optical object, so entry of architecture is diverse space like open or close, not just straight line. The Seoul new city hall wants to be a future architecture that goes with the culture and terrain. The design comes from Seoul square. Seoul square is a symbolical center of Seoul and the only existing outside public space.
The concept design is a vertical extension of Seoul square. The Seoul city office is arranged in back of the vertical square and cultural facility is in top space. The cultural facilities are hanging. The Multi-level hanging terraces are liked linking to this culture facilities. The breathing curtain wall which is designed for wind-circulation hugs Vertical Square, culture facility and multi-level hanging terraces. The space where hanging terrace surrounded by this curtain wall is ecology square that have sustainable eco-system and green wall. The City administration is opened to citizen through overall vertical space of office and that symbolize transparency and democracy of Seoul city hall. The Citizen can access to new city hall through existed city hall and bridge on sunken square to open basement one floor. The Seoul-new city hall is completed by linking the past and future of Seoul square`s placeness.